
요실금은 골반의 가장 밑부분에서 방광과 요도, 자궁과 직장이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조여주는 기능을 하는 골반저근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발생한다. 골반저근은 질 안을 잡아주는 근육으로 소변 보는 과정에서 멈출 때 사용되는 근육이기도 하다. 골반저근이 약화되는 요인은 25세 이후 시작되는 노화와 임신 · 출산, 비만 등이 있다. 골반저근이 약해지면 요실금뿐 아니라 장기의 위치가 변경되고 자궁탈출증, 질 이완, 배변 장애, 치질, 성기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남성들은 전립선 비대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요실금 치료에 효과적인 케겔 운동

치골에서 꼬리뼈에 이르는 골반저근은 해먹처럼 방사형으로 펼쳐진 근육으로, 자궁 · 방광 · 대장을 받쳐주며 요도 · 질 · 항문 수축 운동을 담당한다. 즉 기침, 재채기, 물건 들어올리기 등을 할 때 복부에 힘이 들어가더라도 소변이 나오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 골반저근의 역할이다. 따라서 골반저근을 강화하면 요실금 예방 및 개선에 큰 도움을 준다는 게 케겔 운동을 권장하는 의학자들의 설명이다. 이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케겔 운동이며, 질이완증 · 골반장기탈출증 · 변실금 등의 질병도 케겔 운동을 처방한다. 또한 요실금, 성기능 장애, 전립선 질병 예방 등의 치료 및 예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케겔 운동 방법은 3초 동안 대소변을 참을 때처럼 항문 주위 근육을 조여주고 1~2초를 쉬는 것으로 시작한다. 동작에 몸에 익으면 10초 수축 10초 이완을 10회 반복하는 것이 1세트로, 하루 5세트씩 진행하면 된다.
케겔 운동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운동이지만 다른 운동과 달리 자의적으로 하기가 쉽지 않아 좋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지속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매일 꾸준히 하면 케겔 운동의 효과는 4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3개월 이상 지속해야 요실금 치료에 효과가 있다. 중도에 그만두면 근육이 원상태로 돌아가 큰 효과를 얻기 힘들다.

■ 일러스트 제공·문의 · 코리아테크(080-555-8800)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