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4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국내 처음으로 ‘샤넬 2015/16 크루즈 컬렉션’이 열렸다. 이제는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의 연례 행사가 된 ‘크루즈 컬렉션’은 봄·여름, 가을·겨울 컬렉션 사이에 한 차례 정도 선보이는 휴양지풍 패션쇼다. 칵테일 파티나 리조트에서 입을 법한 옷들이 주를 이뤄 리조트 컬렉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샤넬 역시 2000년 초부터 세계 패션 도시를 돌며 VIP 고객들과 패션 관계자, 언론인들을 초대해 크루즈 컬렉션를 개최해왔다. 지금껏 개최된 도시는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베네치아, 파리, 싱가포르, 두바이 등이 있다. 그리고 서울이 아시아 국가에서는 세 번째로 열리는 도시가 됐다.
이번 패션쇼는 샤넬의 수장,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의 첫 방한이라는 점에서 화제가 됐다. 그동안 여러 인터뷰에서 한국이 가진 신비로운 문화에 영감을 받고 있다고 밝힌 그는 이번 크루즈 컬렉션에서 한국 전통미를 살린 의상을 다수 선보였다. 색동에서 영감을 얻은 오방색 드레스와 허리선이 높이 올라간 엠파이어 드레스, 앞코가 뾰족하게 선 버선 구두는 물론 가체 장식을 하고 무대에 오른 모델들만 봐도 한국에 대한 그의 지대한 관심을 알 수 있다. 패션쇼 자체에 대한 반응은 호불호가 갈렸지만, 무엇보다 그가 이번 패션쇼에서 한복을 차용했다는 점은 큰 의미가 있다. 매년 수많은 기업들이 잘나가는 외국 브랜드를 수입하는 데에만 급급한 가운데,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순수한 시도를 한 디자이너는 몇이나 될까. 비록 그는 한국을 떠나고 없지만 패션계에 던지고 간 화두는 크다.
PAST, PRESENT, FUTURE
LOUIS VUITTON’S IMAGINARY WORLD
누구나 과거를 통해 미래를 계획하고 꿈꾼다. 패션쇼를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재해석한 루이비통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담긴 특별한 전시회가 5월1일~25일 서울 광화문 D타워에서 열렸다. 루이비통 메종의 여성 컬렉션 아티스틱 디렉터인 니콜라 제스키에르(Nicolas Ghesquiere)가 전시 기획을 담당했다. 디자이너의 마음속으로 들어가는 듯한 여정으로 꾸며진 이번 전시에서는 니콜라 제스키에르가 꿈꾸는 1백60여 년 역사를 지닌 루이비통 하우스의 철학과 비전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크게 매직 트렁크, 장인 정신, 액세서리 갤러리, 백스테이지, 끊임없이 이어지는 쇼, 포스터 룸, 스티커 월로 나뉘어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했다.



■ 디자인 · 최정미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