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OPLE

베이징에서 온 두 번째 편지

봄과 함께 찾아온 잔인한 중간고사

글&사진·한석준

2011. 05. 24

KAIST 학생들의 잇따른 자살 소식에 소위 엘리트들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지 한 번쯤 생각하게 된다. 시험에 벌벌 떨고 점수에 목매는 것은 한국 학생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중국 칭화대에서 연수 중인 한석준 아나운서가 중간고사 기간 중국 대학생들의 치열한 학업 열기를 전해왔다.

요즘 날씨 참 좋다. 도대체 여기가 황사로 유명한 그 베이징이 맞나 싶을 정도다. 하지만 학생들은 봄을 즐길 여유가 없다. 잔인하게도 이렇게 좋은 봄날에 중간고사가 딱 걸려 있기 때문이다.
공부를 하다 보니 자연히 이곳 학생들은 어떻게 공부를 할까 궁금해졌다. 도서관에서 옆자리에 앉은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수시로 관찰했다. 주변의 석·박사생들은 시험 공부라기보다 세미나나 발표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자연히 모여서 떠들 공간이 필요하다. 커피숍이나 기숙사 각 층에 마련돼 있는 ‘중팅’이라는 휴게실이 이들의 공부방이다.
오래전 기억을 떠올리게 한 것은 중국의 학부생들이었다. 90년대 초 고교 시절, 친구들 사이에 ‘강남역 국립도서관’에서 공부하는 것이 유행한 적이 있다. 나와 친구들은 주말마다 오전 6시만 되면 아직 열리지도 않은 도서관 앞에 길게 줄을 섰다. 지금 이곳 상황이 그때와 비슷하다. 칭화대 도서관엔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 두 군데 있는데, 한 곳은 오전 7시 반, 다른 한 곳은 오전 8시에 문을 연다. 아마 학생들은 나중에 문을 여는 열람실을 선호하는 모양인지 항상 그쪽으로 들어가기 위해 길게 줄 선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곳 학부생들의 시험은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로 이뤄진다. 학점이 A·B·C 등급으로 나오는 게 아니라 1백 점 만점에 몇 점으로 나온다고. 정확하게 점수로 매겨지는 절대평가라 남보다 잘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지 않지만, 우리나라 학생들 이상의 학구열을 가진 터라 1, 2점 더 얻기 위해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어를 배우기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는 유리공예과 여학생 마휘에게 혹시 칭화대에는 자살 사건이 없었는지 물었다. 이곳에도 예전엔 자살 사건이 종종 일어났다고 한다. 자살의 이유를 물었더니 마휘는 자신과 친한 사람들이 아니어서 자세히 알지 못한다고 했다. 하긴 스스로 목숨을 버린 사람의 심정을 누가 알겠는가. 그저 공부에 대한 중압감이 컸으리라 상상할 뿐이다.

밤낮 없이 공부하는 중국 대학생들
중국에서 칭화대와 베이징대에 입학하는 것은 조금 과장하면 낙타가 바늘 구멍에 들어가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매년 각 성(省)마다 입학생이 10명도 안 된단다. 각 성의 인구가 3천만 명에서 1억 명 가까이 되는데, 10명 이내라면 경쟁률이 얼마나 높은지 짐작할 수 있다. 그렇게 가리고 가려서 뽑은 인재가 허망하게 자살로 세상을 떠나는 일을 막기 위해 칭화대에서도 여러 가지 궁리를 하는 모양이다. 자살 예방 차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는데, 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언제든지 가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교수와 학생을 1대1 멘토·멘티 관계로 맺어줘 언제든 고민을 상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중국 대학에는 ‘찌거(及格)’와 ‘부찌거(不及格)’가 있다. 우리식으로 합격과 불합격인데, 매 학기 9학점(3과목) 이상을 찌거하지 못하면 학사경고를 받고, 1차 학사경고를 풀지 못한 상태에서 또 학사경고를 받으면 퇴학당한다. 이때 학교는 수준이 낮은 다른 학교로의 전학을 유도하는데 그렇게 학교를 나갔다가 다시 입학시험을 봐서 재입학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런 학사 정책 때문에 중국 대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성적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칭화대의 공식적인 중간고사 기간은 4월15일로 끝났다. 시험이라는 부담스러운 터널을 지난 학생들이 오늘만큼은 학점에 대한 불안감은 잠시 잊고 찬란하게 빛나는 청춘을 한껏 즐겼으면 한다. 인생에서 학점보다 소중한 것이 많다는 것을 조금 먼저 안 늦깎이 대학생의 말이다.

봄과 함께 찾아온 잔인한 중간고사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