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 발령 위급 재난문자
‘경계경보 오발령’으로 시민들이 대혼란에 빠지자 서울시와 행안부는 앞다퉈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위급재난문자는 행안부와 지자체 모두 발송할 수 있다. 서울시 전역에 전송된 문자는 서울시가 오발송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는 “수도방위사령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반박하며 “오전 6시 32분 발령한 경계경보는 행안부 중앙통제소의 지령에 따른 정당한 절차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6시41분경 경계경보는 오발령 이라는 문자를 다시 보냈다.
행안부는 서울시에 경계경보 정정 요청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관계자는 “서울시 재난문자가 오발령인 이유는 군에서 최초 통보받은 내용이랑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군에서 인천 옹진군, 백령도 지역에 대한 연락이 와서 행안부가 직접 해당 지역에 민방위 사이렌을 울리고 재난문자도 보냈다. 서울시도 군이 통보한 지역에 해당됐다면 행안부가 직권으로 서울시에 재난문자를 보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행안부에서 서울시에 경계경보 발령이 잘못됐으니 수정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서울시에서 수정 문자를 보내지 않아 행안부가 직권으로 오발령이라 안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위성 발사체를 쏜 건 2016년 2월 7일 ‘광명성호’ 이후 7년 만이다.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에 협정세계시(UTC)를 기준으로 5월 30일 오후 3시부터 6월 10일 오후 3시까지 위성용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국가 재난 시 대피소 확인하는 법
북한이 '우주 발사체'를 발사한 31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는 국가재난 시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다. 접속 후 민방위 대피시설을 클릭하면 전국 시도별 대피소가 안내돼 있다. 또 스마트폰에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정부대표 재난안전 포털앱 ‘안전디딤돌’의 초기화면에 위치한 민방공대피소를 클릭한 뒤 현재 위치 조회를 통해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다. 전쟁과 지진 시 대피 시설이 각각 다르니 재난에 따른 생활권 대피소를 파악해두는 것도 좋다. 전쟁 시에는 대피소 표지판이 부착된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등 지정된 민방공 시설로 이동해야 하며, 지진이 일어났을 때는 공원, 학교 운동장, 옥외 주차장 등 지진옥외대피소로 안전하게 대피한다.
사진 뉴스원 ⸳ 뉴시스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