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철강을 넘어 글로벌 친환경 소재 선도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존경받는 백년 기업으로 세계 속에 우뚝 서겠다고 다짐한다.”
최정우(65) 포스코그룹 회장이 2021년 12월 13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서거 10주기 행사 때 추도사를 통해 밝힌 말이다. 포스코의 변화를 꾀하는 최 회장의 뜻이 담겨 있다.
최 회장은 2018년 7월부터 회장을 맡아 포스코그룹을 이끌고 있다. 그는 부산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포스코에 입사해 포스코그룹 내 계열사를 두루 거치며 실무 능력을 쌓았다. 회장이 되기 전엔 포스코 재무실장, 포스코건설 경영기획본부 기획재무실장 상무, 포스코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재무 관련 중책을 역임하며 포스코그룹 사정에 정통한 ‘재무통’으로 꼽혔다.
최 회장의 의지는 2021년 12월 10일 포스코 이사회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날 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존속법인·가칭)와 철강 사업 회사 포스코(신설법인)로 물적 분할하는 안건을 의결해 지주사 체제 전환을 선언했다. 이는 1968년 창사 이래 처음 단행하는 일이다.
지주사 체제는 그룹의 투자 전략에 따라 계열사에 대한 투자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2021년 12월 10일 이사회에서 2030년까지 기업가치 3배 증가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철강과 더불어 2차 전지 소재, 리튬·니켈, 수소, 식량 등을 꼽았는데 지주사 전환이 이뤄지면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는 2차 전지 소재·수소 등 신성장 사업에 보다 박차를 가할 수 있다.
포스코의 주가에 대한 최 회장의 고심도 지주사 체제 전환의 이유다. 사실상 성장세의 둔화가 뚜렷한 철강업을 주력으로 하는 데서 벗어나 미래 사업에 투자를 늘리면서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계산이다. 포스코는 2021년 영업이익 9조원을 넘길 것이라 예측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나타내고 있지만 철강 산업에 대한 불안감 반영으로 주가는 2021년 5월 40만원대를 기록한 후 11월 말 26만원 초반까지 곤두박질쳤다. 실제 지주사 전환 추진 소식이 알려진 12월 1일 포스코의 주가는 전일 대비 6.13% 상승을 시작으로 7거래일간 연속 상승, 12월 9일 29만5천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주사 전환엔 주주 반발을 이겨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포스코가 선택한 물적 분할 방식이 주주에겐 일반적으로 ‘악재’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물적 분할은 신설회사의 지분 전부를 존속회사가 갖는 방식이다. 기존 지분율대로 신설회사의 주식을 가질 수 있는 인적 분할보다 주주들에게 불리하다. 또 물적 분할 이후 신설회사를 상장하거나 제3자에게 매각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 가치가 희석된다는 단점도 있다.
포스코는 최대주주 국민연금(9.75%), 씨티은행(7.3%)을 제외하곤 소액주주가 대부분이라 반발이 더욱 거세다. 이를 반영하듯 물적 분할을 발표한 12월 10일 포스코의 주가는 4.58% 하락했다. 12월 13일 고 박태준 명예회장 10주기 행사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최 회장은 “물적 분할 후 자회사 상장은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 진화에 나섰지만 같은 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엔 ‘포스코 지주사 전환을 위한 물적 분할 시도를 막아주세요’라는 청원이 올라오는 등 당분간 진통은 계속될 전망이다. 포스코는 2022년 1월 28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지주사 전환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발행 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이 동의한다면 최 회장의 의지는 관철될 수 있다.
사진 동아DB
최정우(65) 포스코그룹 회장이 2021년 12월 13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서거 10주기 행사 때 추도사를 통해 밝힌 말이다. 포스코의 변화를 꾀하는 최 회장의 뜻이 담겨 있다.
최 회장은 2018년 7월부터 회장을 맡아 포스코그룹을 이끌고 있다. 그는 부산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포스코에 입사해 포스코그룹 내 계열사를 두루 거치며 실무 능력을 쌓았다. 회장이 되기 전엔 포스코 재무실장, 포스코건설 경영기획본부 기획재무실장 상무, 포스코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재무 관련 중책을 역임하며 포스코그룹 사정에 정통한 ‘재무통’으로 꼽혔다.
최 회장의 의지는 2021년 12월 10일 포스코 이사회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날 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존속법인·가칭)와 철강 사업 회사 포스코(신설법인)로 물적 분할하는 안건을 의결해 지주사 체제 전환을 선언했다. 이는 1968년 창사 이래 처음 단행하는 일이다.
친환경 신사업 강화가 골자, 주주 반발 이겨내는 것이 관건
물적 분할 및 지주사 체제 전환의 주된 목적으론 포스코그룹 내 친환경 사업 투자 가속화가 꼽힌다. 그간 포스코그룹은 철강업 회사인 포스코가 실질적인 지주사 역할을 해왔다. 포스코가 포스코케미칼,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 주요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는 구조다. 물적 분할이 이뤄지면 포스코는 기존의 다른 계열사와 마찬가지로 지주사 아래 자회사로 바뀐다.지주사 체제는 그룹의 투자 전략에 따라 계열사에 대한 투자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2021년 12월 10일 이사회에서 2030년까지 기업가치 3배 증가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철강과 더불어 2차 전지 소재, 리튬·니켈, 수소, 식량 등을 꼽았는데 지주사 전환이 이뤄지면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는 2차 전지 소재·수소 등 신성장 사업에 보다 박차를 가할 수 있다.
포스코의 주가에 대한 최 회장의 고심도 지주사 체제 전환의 이유다. 사실상 성장세의 둔화가 뚜렷한 철강업을 주력으로 하는 데서 벗어나 미래 사업에 투자를 늘리면서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계산이다. 포스코는 2021년 영업이익 9조원을 넘길 것이라 예측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나타내고 있지만 철강 산업에 대한 불안감 반영으로 주가는 2021년 5월 40만원대를 기록한 후 11월 말 26만원 초반까지 곤두박질쳤다. 실제 지주사 전환 추진 소식이 알려진 12월 1일 포스코의 주가는 전일 대비 6.13% 상승을 시작으로 7거래일간 연속 상승, 12월 9일 29만5천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주사 전환엔 주주 반발을 이겨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포스코가 선택한 물적 분할 방식이 주주에겐 일반적으로 ‘악재’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물적 분할은 신설회사의 지분 전부를 존속회사가 갖는 방식이다. 기존 지분율대로 신설회사의 주식을 가질 수 있는 인적 분할보다 주주들에게 불리하다. 또 물적 분할 이후 신설회사를 상장하거나 제3자에게 매각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 가치가 희석된다는 단점도 있다.
포스코는 최대주주 국민연금(9.75%), 씨티은행(7.3%)을 제외하곤 소액주주가 대부분이라 반발이 더욱 거세다. 이를 반영하듯 물적 분할을 발표한 12월 10일 포스코의 주가는 4.58% 하락했다. 12월 13일 고 박태준 명예회장 10주기 행사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최 회장은 “물적 분할 후 자회사 상장은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 진화에 나섰지만 같은 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엔 ‘포스코 지주사 전환을 위한 물적 분할 시도를 막아주세요’라는 청원이 올라오는 등 당분간 진통은 계속될 전망이다. 포스코는 2022년 1월 28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지주사 전환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발행 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이 동의한다면 최 회장의 의지는 관철될 수 있다.
사진 동아DB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