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세계로 떠나는 여행

네덜란드의 이색 풍경

섹스 뮤지엄, 섹스숍, 성행위 직접 보여주는 라이브 극장…

■ 글 & 사진·허문명

2003. 09. 02

네덜란드 선원 하멜이 제주도에 표류한 지 올해로 꼭 3백50년이 지났다. 지난해 월드컵 열기와 더불어 ‘히딩크의 나라’로 더욱 가까워진 네덜란드. 동성애가 허용되고, 매춘부가 당당히 세금을 내며 영업을 하는 등 인간의 자유를 최고로 만끽할 수 있기에 렘브란트와 반 고흐 같은 세계적인 예술가를 낳을 수 있었던 게 아닐까. 그런 네덜란드로 출발!

네덜란드의 이색 풍경

7년 전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가본 적이 있다. 휴가를 내고 당시 유럽 패키지 여행에 합류했는데 그곳에서 하루 정도 머물렀다. 네덜란드는 유럽을 여행하는 대다수 한국 단체 관광객들에게 주로 항공편을 맞추기 위해 하루나 반나절 정도 머물다 가도록 끼워넣는 여행코스다. 당시 기자도 시간에 쫓겨 공항 주변 암스테르담 중심가와 인근 관광용 풍차 지대 위주로 허겁지겁 관광을 하고 서둘러 다음 일정을 위해 떠났다.
이번에 다시 암스테르담을 방문하게 된 건 8월15일부터 덕수궁 미술관에서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 렘브란트 그림을 비롯한 ‘네덜란드의 17세기 미술’에 관련한 취재를 위해서였다.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11시간 만에 내린 곳은 암스테르담이 아니라 스키폴 공항이다. 나중에 기억해낸 사실이지만, 암스테르담은 공항이 아니라 기차역이다. 암스테르담으로 가려면 스키폴 공항에서 기차를 타고 20분 가량 더 가야 한다.
스키폴 공항은 우리나라 대구나 부산 공항 같은 느낌이다. 규모도 작고 오가는 사람들도 그리 많지 않아 ‘국제공항이 맞나’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면세점도 몇 개 되지 않아 온갖 면세점들로 번쩍이는 인천공항 규모에 댈 바가 아니다. 입국심사대 앞에서 공항 직원에게 여권을 보여주니 그것으로 ‘통과’다. 입국 신고서가 필요없는 것. 한 나라에 대한 첫인상은 대개 입국심사대 앞에서 결정되는데, 친절하고 자유로운 공항 분위기가 네덜란드의 첫인상이었다. 그리고 이런 느낌은 여행을 하는 내내 바뀌지 않았다.
스키폴 공항에서 느낀 네덜란드의 왜소함(?)은 그러나 수도인 암스테르담 역에 가면 확 달라진다. 규모도 크고 오가는 사람들도 많아 그야말로 ‘국제역’답다. 더욱이 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벨기에 등 유럽 각국으로 연결되는 기차를 만날 수 있어 네덜란드가 ‘유럽의 관문’이라는 사실을 느끼게 한다. 프랑스 파리와 벨기에 브뤼셀은 기차로 겨우 3시간이면 닿는 거리다.
다른 나라로 가려면 ‘비행기’를 타야만 하는 우리 입장에서 보면, 입국 비자도 없이 기차표 한장으로 국경을 넘나든다는 사실이 부럽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다. 여기에다 환전할 필요없이 전 유럽을 ‘유로화’ 하나로 다닐 수 있다는 것을 떠올리면 신문에서만 보던 ‘유럽통합’이라는 단어가 실체로 다가온다.
암스테르담 역을 빠져나오면 우리나라 서울역 광장 같은 넓은 광장이 펼쳐진다. 이곳은 암스테르담 최대의 번화가로 중앙역 맞은편 담락(Damrak) 거리와 이를 둘러싼 반지름 1~2km의 지역이다. 왕궁, 중앙우체국, 전화국, 쇼핑가 등이 포진해 있어 활기가 넘친다. 더욱이 기자가 이곳을 찾았던 7월말은 바캉스 시즌이기도 해서 광장은 유럽인들을 비롯해 전세계 사람들로 북적였다. 자기 몸무게에 육박하는 무거운 배낭을 짊어지고 친구나 연인들끼리 거리를 누비는 젊은 배낭족들의 모습은 보는 것만으로도 넘쳐나는 에너지가 전달되는 듯했다.
네덜란드의 이색 풍경

미술품을 사고파는 벼룩시장, 마담 토소 전시관, 반 고흐 미술관, 섹스 뮤지엄(왼쪽부터).



네덜란드의 이색 풍경

‘풍차의 나라’ 네덜란드에서 홍등가(위에서 첫번째)는 빼놓을 수 없는 관광명소다.


광장을 지나 거리로 나오면 상점, 식당, 기념품점들이 즐비한데 이중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명소가 ‘마담 토소’ 전시관이다. 이곳은 아널드 슈왈츠제네거, 마릴린 몬로, 빌 클린턴, 부시, 아인슈타인, 파블로 피카소 등 분야를 망라하고 세계적으로 저명한 1백여명의 모습을 마네킹으로 본떠 전시하고 있다. 마네킹 모습이 실물과 매우 흡사해 마치 유명 인사들의 파티에 초대되어 온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마담 토소 전시관을 지나 100m 정도 걸으면 그 유명한 ‘섹스 뮤지엄’이 나온다. 알다시피 네덜란드는 동성애가 허용되고 매춘부가 당당히 세금을 내고 영업하는 성 개방 국가다. 남자 성기 모양의 조각들로 장식된 입구부터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풍기는 섹스 박물관은 한 개인사업가가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모은 성 관련 소품을 전시해놓은 곳이다. 일본 등 아시아권의 춘화를 비롯, 성행위를 묘사한 각종 조각품들, 누드나 성행위를 표현한 예술품들, 포르노 비디오 등 ‘성’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만나볼 수 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관광객들로 붐비는데 연인, 친구, 가족들끼리 와서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입장료는 우리 돈으로 4천원 정도.
섹스 뮤지엄에서 일단 눈치를 챌 수 있겠지만, 암스테르담의 볼거리는 ‘성’과 관련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홍등가’는 그 규모와 자유로운 분위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명 ‘Red lights street’라 불리는 이곳은 광장 동쪽으로 500m 정도 떨어져 있다. 아름다운 운하를 뒤로한 채 양쪽으로 빽빽하게 늘어선 고풍스러운 건물 1층 쇼윈도 안에 수영복이나 속옷 차림의 반라(半裸) 여성들이 자신을 팔기 위해 갖가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회부 기자 시절, 속칭 ‘588’이라고 불리는 서울의 홍등가를 취재할 기회가 있었다. 그때 기억을 되짚어 보면 업소마다 넓은 쇼윈도 안에 여러 명의 여자들이 함께 있었는데 암스테르담의 홍등가는 작은 방에 한명씩 서 있는 모습이 우리와 사뭇 다르다. 이곳은 속칭 ‘포주’라는 게 없으니 홍등가의 여성 한사람 한사람이 각기 개인 사업자들인 셈이다. 홍등가의 쇼윈도는 1백개쯤 되는데 중간중간 커튼이 드리워진 곳은 현재 ‘영업이 진행중’인 곳이라고 한다.
암스테르담의 홍등가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흑·백·황인종 등 다국적 특색을 띠고 있다. 관광객들 또한 동·서양에서 날아든 다양한 인종의 남성들이다. 그러나 이 거리는 흔히 생각하는 홍등가와는 차원이 다르다. 인테리어가 훌륭한 커피숍과 중국식, 베트남식, 인도네시아식 등 다국적 음식점들이 즐비하고 여관도 많아 음심(淫心)을 품은 남성뿐 아니라 남편이나 아내, 연인의 손을 잡고 오는 사람들이 많고, 여기에 틴에이저들까지 합세해 암스테르담의 관광명소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간혹 소매치기들이 있긴 하지만, 치안 유지가 잘된 편이어서 이곳을 중심으로 암스테르담 관광을 즐기는 관광객들이 넘쳐난다.
홍등가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직업에 대한 자부심도 강해 자기들만의 노동조합을 결성했을 정도라고 한다. 이들의 주요 의제는 질병 휴가, 세금 혜택, 연금, 임신휴가, 월경 휴업시 보상 문제 등이었는데 이런 활동이 성과를 거둬 2001년엔 섹스산업이 합법화되었다고 한다. 홍등가의 여성들이 당당히 세금을 내고 정식으로 노동하는 존재로 인정받은 것이다.

네덜란드의 이색 풍경

옷차림은 허름해도 휴가는 해외로 떠나는 네덜란드인들이 한가롭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


성과 관련해 네덜란드의 태도가 개방적이고 적극적이라는 점은 82년 설립된 ‘선택된 인간관계 재단(SAR)’의 활동에서 두드러진다. 이 재단의 활동이란 다름 아닌 장애인의 성적 욕구를 사회제도로 편입시킨 형태다. 재단은 장애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보조를 받으면서 여성, 남성, 동성애자 등으로 분류된 자원봉사자들이 매년 1천명 이상의 중증장애인에게 섹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 네덜란드 법원은 최근 지방 당국에게 한 중증장애인의 ‘여성 섹스 도우미(female sex and worker)’ 방문 비용을 지불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한다. 도덕적, 윤리적 판단은 유보하더라도 인간의 자유로운 욕구를 억압하지 않고 어떻게든 제도 안으로 녹여내려 애쓰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처럼 성에 솔직하다 보니 이 나라는 섹스와 관련한 상품이 넘쳐나고, 상품화를 꾸준히 하고 있다. 앞서 소개한 홍등가에도 각종 섹스용품을 파는 기념품 가게와 섹스숍, 비디오 가게, 성행위를 직접 보여준다는 라이브 극장이 즐비한데, 처음에는 신기해도 시간이 지나면 차츰 익숙해져서 별로 신기할 것도 없어 보인다.

렘브란트, 반 고흐 탄생시킨 예술가의 나라
어쩌면 일탈의 강도는 억압의 강도와 함수관계에 있지 않을까, 다시 말해 금기가 없어지면 욕망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줄어들지 않을까. 이쯤에서 다소 철학적인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특히, 마약문제에 부닥치면 이런 생각은 더욱 확장된다. 네덜란드는 마약을 허용하는 나라다. 그렇다고 100%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대마초라고 알려진 마리화나에 한해서, 그것도 정해진 구역 안에서만 그렇다. 마리화나를 파는 곳은 그 나라 말로 ‘커피숍. ’흔히 커피만 파는 곳은 ‘커피 하우스’라 부른다. 마약을 파는 커피숍은 앞유리창에 마리화나 잎사귀가 크게 그려져 있다.
네덜란드에서 마리화나 같은 비교적 순한 마약을 허용하는 것은 이것이 술보다 덜 유해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로인 중독자들을 구제하기 위해 대응 마약인 ‘메타돈’을 제공하는 ‘메타돈 서비스’라는 것이 있는데, 일정한 시간 정해진 장소에 버스가 와서 한 시간반 정도 중독자들에게 메타돈을 나눠준다. 마약 중독자들을 범죄인이 아니라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로 보기 때문이다.
이처럼 관대한 정책은 ‘억압하기보다 관대한 정책을 펼 때, 오히려 욕망은 줄어든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런 생각의 효능은 통계가 입증하고 있다. 실제로 인구 1천명당 마약 사용자수를 보면 유럽 평균은 2.7명인데 반해 네덜란드는 1.6명에 불과하다.
겉보기와 달리 유럽의 모범국가인 네덜란드는 현재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에 육박하는 부자 나라이기도 하다. 네덜란드는 이미 17세기에 세계를 제패해본 경험이 있다. 17세기 세계 무역의 패자(覇者)로 전세계를 누비면서 이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가장 철저하게 ‘세계화’된 곳이다. 1631년 암스테르담에 머물렀던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가 “세계 어느 다른 곳에서 이토록 손쉽게 편리한 물품들과 진기한 물건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세계 다른 어느 곳에서 이토록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인가” 하고 찬탄했을 정도다.
네덜란드인의 정체성은 청렴과 결백으로 상징되는 칼뱅주의로 대변된다. 항상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단정하고 청결하게 살아간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나라, 허름한 옷차림에 자전거를 즐기면서도 휴가 때는 전세계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다. 또한 열심히 정당하게 부를 축적하고 돈이나 부를 죄악시하지 않는 실용주의의 나라가 바로 네덜란드다.
네덜란드는 남한의 절반밖에 안되는 작은 나라이면서도 에라스무스와 스피노자로 대변되는 철학자의 나라이며 렘브란트와 빈센트 반 고흐 등 유명 화가를 낳은 예술가의 나라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히딩크의 나라’로 알려진 네덜란드. 조선 사정을 해외에 제일 먼저 알렸던 하멜의 나라이기도 하다. 알고 보면 매우 가까운 나라 네덜란드는 한국과 예사롭지 않은 인연을 갖고 있다.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