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 11월에 챙겨 드시는 음식이 있나요.
오메가3지방산이 풍부한 등푸른생선을 섭취하면 면역력을 높여줘 감기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돼요. 저는 겨울에 접어들면 고등어, 연어, 꽁치 등을 자주 먹습니다. 토란, 무, 연근, 우엉, 더덕, 도라지 등 뿌리채소는 제철 음식으로 이맘때 먹으면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해요.
겨울맞이 대표 음식은 김장 김치입니다. 우리에게 김장 김치는 어떤 의미인가요.
김장과 장 담그기는 ‘인가일년지대계(人家一年之大計)’라 해서 연중 가장 큰 행사였어요. 김장을 담그며 가족이나 이웃이 함께 나눔의 정신을 실천함으로써 공동체 결속력을 강화시켜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으로 등재까지 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문화입니다. 옛날, 채소가 부족했던 겨울철에 우리 식탁에 없어서는 안 될 귀한 반찬이었고요.
김치는 각종 채소의 신선한 맛, 젖산 발효로 상쾌한 맛, 고춧가루를 비롯한 향신료의 독특한 맛, 젓갈류의 감칠맛이 어우러져 식욕을 촉진하는 건강식품 중 하나예요. 배추와 무 등을 수확해 추운 겨울이 오기 전 11월에 김장을 담근 뒤 이듬해 봄까지 섭취했지요. 요즘은 김치냉장고 덕분에 여름까지도 김장 김치를 즐길 수 있어요.
김장을 맛있고 건강하게 담그는 비법이 궁금합니다.
모든 음식이 마찬가지겠지만, 김치 역시 재료 선택이 중요하므로 좋은 재료를 골라 정성껏 담그는 게 포인트예요. 우선 소금은 최소한 3년 이상 묵어 간수의 쓴맛이 제거된 천일염을 사용하고, 젓갈은 새우젓을 기본으로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황석어젓·갈치속젓 등을 적절하게 넣어요. 찹쌀풀은 물과 찹쌀가루의 비율을 5:1로, 배추 절임물은 물과 천일염의 비율을 8:1로 하면 좋아요. 물 대신 육수를 사용하는데, 황태와 마른 표고버섯·다시마·향신채를 적당히 넣고 끓여 만듭니다. 고춧가루는 매운 것과 안 매운 것을 반씩 섞되, 굵은 고춧가루와 고운 고춧가루를 반반 사용하고요. 생굴과 낙지, 생새우 등의 해산물을 넣으면 시원한 맛이 더해져요. 담근 김치는 1~2일 상온에 뒀다가 김치냉장고에 넣어 숙성시키면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이종임표 겨울 김장
배추김치

배추 4kg(배추 2포기), 절임물(물 4L, 천일염 1 ½컵), 동치미 무 5개(1.5kg), 미나리·갓·쪽파 100g씩, 배 ½개, 생새우 1컵(또는 생굴 1컵이나 낙지 1마리), 김칫소 양념(마늘 100g, 생강 20g, 양파 ½개, 황태육수 1컵, 고춧가루 1 ½~2컵, 육수 1컵에 건고추 10g을 넣고 30분간 불려 믹서에 간 건고춧물 1컵, 찹쌀풀·까나리액젓 ½컵씩, 새우젓 ¼컵, 설탕·소금 2큰술씩), 김칫국물(육수 1컵, 소금 1작은술)
요리법
1 배추는 반을 갈라 절임물에 적신 후 줄기 부분에 소금을 뿌려 12시간 정도 절인다. 그 후 씻어 물기를 뺀다. 천일염은 절이는 물에 ⅓, 뿌리는 용도로 사용한다.
2 무 1.5kg 중 800g은 채썰고 700g은 10토막 정도 큼직하게 썰어 배추와 함께 살짝 절인다.
3 미나리와 갓, 쪽파는 3~4cm 길이로 썰고 배는 채썬다.
4 믹서에 마늘, 생강, 양파를 넣어 갈고 황태육수와 3큰술 덜어낸 고춧가루, 건고춧물, 찹쌀풀, 새우젓, 까나리액젓, 설탕, 소금을 섞어 김칫소 양념을 만든다.
5 무채에 고춧가루 3큰술을 넣고 버무려 물을 들인 다음 ④의 김칫소 양념을 넣고 버무린다.
6 ⑤에 ③의 채소와 배채를 넣고 버무린 뒤 생새우(또는 잘게 썬 낙지나 생굴)를 넣어 살살 섞어 김칫소를 만든다.
7 큼직하게 썰어 절인 무에 김칫소를 약간 넣어 버무려놓는다.
8 절인 배추 사이사이에 김칫소를 발라가며 넣고 배춧잎으로 감싸준다.
9 김칫소 그릇에 육수나 생수를 넣고 소금 간을 해 김칫국물로 사용한다.
10 김치통에 배추김치와 ⑦의 무를 켜켜로 담고 김칫국물을 부은 뒤 배춧잎으로 덮는다. 1~2일 상온에서 숙성한 후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총각김치

총각무 4kg(총각무 2단), 절임물(물 8컵, 천일염 2컵), 쪽파 200g, 소금 1작은술, 김칫소 양념(고춧가루 3컵, 황태육수·다진 새우살·찹쌀풀 1컵씩, 멸치액젓·새우젓 ½컵씩, 다진 마늘 6큰술, 다진 생강 1큰술, 설탕 2큰술), 김칫국물(황태육수 1컵, 소금 1작은술)
요리법
1 총각무는 억센 무청과 겉대는 떼고 다듬어 씻는다.
2 ①의 총각무를 절임물에 4~5시간 정도 절인 후 씻어 물기를 뺀다.
3 쪽파는 소금을 뿌려 30분 정도 살짝 절인다.
4 고춧가루에 황태육수를 부어 불린 후 나머지 재료를 넣고 고루 섞어 김칫소 양념을 만든다.
5 절인 총각무와 쪽파를 김칫소 양념에 버무린 후 김치통에 담고, 버무릴 때 사용한 통에 김칫국물을 넣어 섞은 후 김치통에 붓는다. 배춧잎을 덮어 2일 정도 숙성시킨 다음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하나 더! 김장과 찰떡궁합 건강 요리
오겹살편육과 굴보쌈
준비재료물 적당량, 된장 2큰술, 생강 1쪽, 소주 ½컵, 인스턴트커피 1큰술, 오겹살 600g, 생굴 400g, 소금 약간, 새우젓양념장(새우젓 2큰술, 생수 1큰술, 다진 실파 1작은술, 고춧가루·깨소금 ½작은술씩), 절임 배추 ¼포기, 김칫소 2컵, 통깨 2큰술
요리법
1 냄비에 물과 된장, 생강, 소주, 인스턴트커피를 넣어 끓기 시작하면 오겹살을 반으로 잘라 넣고 40분 정도 삶은 뒤 건진다. 먹기 좋게 한입 크기 편으로 썬다.
2 생굴은 소금에 살살 버무려 해감을 제거한 뒤 씻어 물기를 뺀다.
3 새우젓은 다져 나머지 재료를 넣고 섞어 새우젓양념장을 만든다.
4 그릇에 오겹살 편육과 생굴, 절임 배추, 통깨를 뿌린 김칫소를 담고 새우젓양념장을 곁들인다.
사진제공 이종임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