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금씨(46)는 처녀 때부터 소화가 안 되고, 위경련이 자주 왔다. 소화가 안 되면 두통이 나타나 더욱 힘들었다. 결혼 후 까다로운 남편에게 맞추며 살다 보니 위장장애는 더 심해졌다. 위장에 좋다는 약은 다 먹어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혹시 위암이 아닐까 싶어 매년 내시경 검사를 받았지만 신경성 위염이란 진단만 들었을 뿐 뚜렷한 병명을 알 수 없었다. 그러다 우연히 진료를 받던 중 자신이 담적(痰積)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담적병이란 위장 외벽이 음식 독소 때문에 굳어지고 붓는 병을 말한다. 위장은 소화 과정을 통해 우리 몸을 지탱하는 양질의 영양소를 공급하고 유해 물질들을 걸러내는 정화조 기능을 담당하는데, 담적병에 걸리면 이런 기능이 원활치 않게 된다. 내시경 검사는 위장 안쪽의 상태만 보여주고 위장 외벽 근육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는 까닭에 김종금씨처럼 위장 외벽에 이상이 생겨도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문제는 담적병이 단순한 위장병이 아니고 만성두통, 급체, 건망증, 치매, 당뇨병, 간경화, 관절 질환, 피부 질환, 갑상선 질환, 우울증, 배변장애, 위암 같은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데 있다.
과거에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도 그 원인을 알 수 없었다. 위담한방병원 최서형 원장 역시 초기 연구를 할 때만 해도 위 외벽이 굳어지면서 암 덩어리처럼 붓는다는 걸 상상하지 못했다. 최 원장은 2003년 담적 개념을 창안한 이후 4년에 걸쳐 환자 7백 명의 위와 장 외벽 조직의 굳기와 부기 정도를 12단계로 분류하고 환자들의 식습관과 증상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내시경 상에서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던 위장병 환자들을 찾아냈다. 이들은 잘못된 식습관 때문에 제대로 분해되지 않은 음식물로 인해 독소가 생기고 이것이 위장 점막을 손상해 그 파괴된 점막 사이로 독소가 침투하면서 위장 외벽이 굳어지는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게 됐다.
원인 모를 위장병 원인 밝혀져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위담한방병원은 근본적인 위장 진단을 시작했다. 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 여부로 복부와 위벽의 단단한 덩어리를 진단하고, 복부 X선을 촬영해 대변 및 가스 상태를 확인했다. 그리고 필요시 간 기능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하고, 장기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경락공능검사를 했다.
현재 위담한방병원은 환자의 체질과 담적의 상태에 따라 한·양방 통합치료를 병행한다. 한의학으로는 외벽 및 위장관의 비후와 경화, 전신 질환으로 번질 수 있는 위장병의 근본 원인을 치료한다. 소화기내과에서는 내시경, 초음파, 혈액 검사를 실시해 위장 질병과 폴립을 제거하는 등 응급 처방을 한다. 한번 쌓인 독소는 쉽게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치료기간은 1~3개월 정도 걸리며, 상태가 심각하면 6개월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다행히 치료를 끝낸 뒤 환자가 주의를 기울이면 담적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평균 2~3개월 한·양방 통합치료 병행
담적병 역시 걸리고 나서 치료하는 것보다 예방하는 편이 훨씬 쉽다. 음식을 많이 먹거나 빨리 먹거나 몰아서 먹을 경우, 음식물이 위장에서 분해되지 못해 독소를 만들어 담적을 형성하므로 이런 식습관은 빨리 고쳐야 한다. 특히 야식은 위장 내 많은 노폐물을 만드는 원인이므로 삼가야 한다. 최서형 원장이 ‘333 식습관 운동’을 주창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루 3끼를 규칙적으로 한 입에 30회씩 침을 섞어가면서 꼭꼭 씹어 30분간 천천히 식사하면 며칠 안에 눈에 띄게 건강이 달라진다. 위의 포만감이 뇌에 전달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가능한 한 천천히 먹어야 한다. 또 찌거나 데치거나 삶아서 조리하면 위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설탕이나 탄산음료는 위장 운동을 방해하므로 되도록 줄이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독성이 강한 호르몬이 분비돼 위장 점막을 손상시키므로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바로바로 푸는 습관이 필요하다.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도 담적병 예방에 좋다.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