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진짜 ‘부산대저토마토’ 감별하는 법

이동민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2024. 01. 19

일부 독자들은 사회과부도 교과서에 등장하는 ‘지역별 특산물’이라는 문구를 기억할 것이다. 시험 준비를 위해서는 보성-녹차, 횡성-한우, 성주-참외 등과 같이 지역명-품목명을 연결해 외워야만 했을 것이다. 혹시 이들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국가인증제도가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 바로 ‘지리적표시제’다.

지리적표시(geographical indication)는 농수산물 또는 농수산 가공품의 명성, 품질 등의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부여된다. 이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협정(TRIPs)’에서 언급되는 지식재산권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지리적 명칭 자체가 권리 대상이 된다. 즉, 국가 간 무역 협상 시 지리적표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 보성녹차, 이천쌀, 카망베르드노르망디, 스카치위스키 등 한-EU FTA의 협상 내용에도 양 당사국에서 보호되어야 하는 지리적표시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1999년 지리적표시제가 도입됐다. 국제적인 지리적표시의 지식재산권화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우리나라 우수 지역 특산품을 보호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2002년 처음으로 보성녹차가 제1호로 등록된 이후 현재 농산물 기준 103개의 식품이 등록돼 있다.

지리적표시가 소비자에게 주는 의미

단순히 해당 지역에서 그 식품이 많이 생산된다고 지리적표시라는 명칭을 부여하진 않는다. 해당 품목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져 있는지, 해당 지역에서 생산 및 가공됐는지, 역사는 깊은지, 해당 품목의 특성이 본질적으로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적 특징 때문인지를 판단한 뒤 지리적표시를 부여한다.

어렸을 때 어른들에게 건너 들어온 혹은 학습되어온 지역명-상품명의 연결고리가 머릿속에 남아 있는 경우는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대부분 알지 못한다. 그렇기에 지리적표시 안에 얽힌 여러 역사적인, 지리적인 이야기가 소비자에게 잘 전달될 필요가 있다. 식품에 관련된 스토리를 알고 있다면 먹는 과정이 더 즐겁고 행복하지 않겠는가! 그 예로 국내 지리적표시 제86호로 등록된 부산대저토마토를 소개한다. 국내에서 얼마나 유명하고 오래 재배되어왔는지, 독특한 관능적인 특성과 부산 대저 지역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를 소개해보고자 한다. 이 칼럼을 읽고 난 후 부산대저토마토를 제철인 3~5월 즈음 구매해본다면 어떨까.




대저토마토 캐릭터.

대저토마토 캐릭터.

부산대저토마토(제 86호)

등록 명칭 부산대저토마토(Busan Daejeo Tomato)
등록 일자 2012. 9. 24
등록자 대저농업협동조합


부산 대저 지역에서 토마토가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부터입니다. 이때 농업용 필름이 보급되면서 토마토 터널재배가 대저 지역에서 시작되었고, 1960년대 말 즈음 대저 지역에 토마토 재배 단지가 조성되었습니다.

‘부산대저토마토’라는 명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대저1·2동)에서 생산된 토마토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역은 낙동강 하류의 삼각주평야 부근에 위치하는데, 역류하는 바닷물에 오랜 기간 노출되었던 터라 염분기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렇기에 이곳에서 생산되는 부산대저토마토는 짭조름한 듯하면서 단맛이 납니다. 이러한 고유의 풍미를 유지하기 위해 강수량이 많아 땅의 염도가 낮아지는 여름철이 아닌 겨울철에 재배합니다. 9~10월에 토마토 씨앗을 파종하고 11월 본밭으로 옮긴 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수확하지요. 부산대저토마토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 생산한 토마토 중 당도가 8브릭스(Brix) 이상인 것은 ‘부산대저 짭짤이 토마토’로, 그 이하는 ‘부산대저토마토’로 판매됩니다.

지리적표시 인증을 받은 진짜 부산대저토마토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지리적표시 인증마크가 붙어 있는지, 대저농협에서 출하되는 박스에 잘 담겼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리적표시 인증마크, 대저농협의 부산대저토마토 로고와 캐릭터를 잘 기억해주세요.


#지리적표시 #지역별특산물 #부산대저토마토

사진제공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대저농협홈페이지 서울대학교푸드비즈랩블로그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