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출 많은 여름철 골칫거리 등드름
기온이 올라가면 등이나 가슴에 여드름이 있는 사람들의 고민은 깊어진다. 특히 노출이 잦아지는 시기에는 수영복이나 살짝 파인 옷조차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등과 가슴 부위는 얼굴보다 피부 조직이 두껍고 단단해 여드름이 생기면 깊이 박히고, 회복이 느려 흉터나 색소침착이 생기기 쉽다.등드름의 원인은 크게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자극으로 나뉜다. 우선 체내 열이 제대로 순환되지 못하고 피부에 머물면 피지샘을 자극해 과잉 피지를 분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등드름 등 피부 트러블이 생긴다. 특히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고 피부 회복 속도가 느려져 여드름이 더 쉽게 발생한다.
외부적인 자극도 무시할 수 없다. 피부에 직접 닿는 속옷이나 침구 등과의 마찰, 보디 워시·샴푸·린스 잔여물, 등드름 전용 미스트나 로션에 포함된 특정 성분이 피부를 자극해 트러블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땀이 많이 흐르는 여름철에는 곰팡이균에 의한 모낭염과 여드름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등드름은 형태에 따라 케어법이 다르다. 가장 흔한 형태는 일명 ‘좁쌀 여드름’으로, 피부 겉은 오돌토돌하지만 붉거나 아프진 않은 상태를 일컫는다. 좁쌀 여드름은 피지와 각질, 제품 잔여물이 모공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이럴 때는 살리실산(BHA)이나 글리콜산(AHA), 아젤라인산 등 각질 제거 성분이 들어간 보디 워시나 패드를 활용해 모공 속 노폐물을 부드럽게 녹여내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동시에 침구와 수건을 자주 세탁해 박테리아 증식을 차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피부가 붉어지며 열감이 느껴진다면 염증성 여드름일 가능성이 크다. 이때는 자극을 최소화하는 게 핵심이다. 과산화벤조일, 니아신아마이드, 티트리 오일처럼 항균·항염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간 제품을 선택하되 손으로 자꾸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 보디 미스트나 젤 타입 로션 등 가벼운 제형으로 진정 중심의 루틴을 이어가는 것이 좋다.
만약 여드름이 붉게 부어오르고 노란 고름이 잡힌다면 화농성 여드름으로 이미 심화한 염증 상태다. 이 경우에는 절대 손으로 짜거나 자극하지 말고 피부과에서 전문적으로 압출을 받거나 약물 처치를 병행해야 한다. 집에서는 티트리, 병풀, 마데카소사이드 같은 진정 성분으로 최소한의 자극만 주며 관리한다.
매일 실천하는 등 케어 루틴
한번 생기면 쉽게 사라지지 않는 등드름. 그렇다고 피부과 치료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일. 일상 속 습관부터 샤워 루틴, 식단까지 꼼꼼히 바꾸면 집에서도 어느 정도 케어가 가능하다. 중요한 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꾸준히 실천 가능한 루틴을 만드는 것.샤워 루틴부터 바꿔라
등은 손이 닿기 어려운 부위이므로 샤워 시 도구의 힘을 빌리는 것이 좋다. 손잡이가 달린 보디 브러시나 샤워 스펀지를 활용해 꼼꼼히 클렌징하되 자극이 가지 않도록 부드럽게 닦아낸다. 여기에 과산화벤조일(5~10%) 성분이 함유된 보디 워시를 사용하면 항균 효과가 탁월해 등드름 박테리아를 잡는 데 효과적이다. 단, 이 성분은 흰옷에 얼룩을 남길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충분히 헹구는 것이 중요하다. 또 샴푸, 린스, 헤어 팩, 스타일링 제품에 포함된 실리콘, 오일, 향료 성분 등이 등 피부에 남아 모공을 막고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머리를 감은 뒤 보디 워시를 생략하거나 등을 제대로 씻어내지 않고 마무리하는 샤워 습관은 등드름의 주범이다. 따라서 샤워 순서는 ‘샴푸→컨디셔너→얼굴·몸 클렌징→몸 전체 꼼꼼하게 헹구기’로 정리하는 것이 이상적.
진정과 보습으로 마무리
샤워 후 피부에 남은 열기와 건조함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니 즉시 진정 케어에 들어가자. 티트리, 알로에베라, 병풀 추출물 같은 진정·항염 성분이 함유된 미스트나 젤 타입 로션이 적합하다. 유분이 많은 로션은 오히려 모공을 막을 수 있으므로 흡수가 빠르고 가벼운 제형을 고른다.
식단도 바꿔라
등드름은 피부 문제지만 식습관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평소 염증 완화에 좋은 푸른잎채소, 토마토, 생선, 오메가3가 풍부한 아보카도, 호두, 연어 등을 섭취한다. 반대로 당지수가 높은 탄수화물, 유청 단백질은 등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위생과 운동 습관 체크도 필수!
땀과 마찰은 등드름의 주범. 운동 후에는 즉시 샤워하고, 수건이나 운동복은 자주 세탁하자. 특히 항균 소재의 수건이나 ‘흡한 속건(빠르게 흡수해서 빨리 말리는)’ 기능이 있는 드라이 핏 운동복은 피부 자극을 줄여준다. 몸에 너무 딱 붙는 상의는 모낭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여유 있는 핏을 선택하고 세탁도 자주 한다.
#등드름 #비키니 #여름스킨케어 #여성동아
사진출처 언스플래시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