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늦기전에

같은 교회 다니며 오랫동안 지켜본 문화일보 허민 기자의 ‘이은주를 그리며…’

■ 기획·구미화 기자 ■ 글·허민‘문화일보 정치부 기자’ ■ 사진·홍중식 기자, 동아일보 사진DB파트

2005. 03. 30

문화일보 정치부 차장인 허민 기자는 생전 이은주와 같은 교회를 다녔다. 그가 만난 이은주는 기력을 다할 만큼 온몸으로 연기하는 배우이자 자신이 가진 것을 타인이 갖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맑은 품성의 젊은이였다. 허민 기자가 이은주의 모습을 추억하며 죽음의 의미를 되새겨보았다.

같은 교회 다니며 오랫동안 지켜본 문화일보 허민 기자의 ‘이은주를 그리며…’

생전 이은주와 같은 교회를 다녔던 허민 기자는 이은주를 누구보다 품성이 맑은 사람으로 추억했다.


이은주에 대한 충격적인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 난 몇 달 전의 일을 떠올렸다. 가을 햇살이 제법 따가웠던 2004년 10월 어느 날, 서울 강남의 한 카페에서 마주 앉은 이은주는 많이 야위어 있었다. 영화 ‘주홍글씨’ 촬영을 마친 그는 평소보다 체중이 6kg이나 줄었다고 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그의 입에서 나온 말은 다소 의외였다.
“지난 1년 동안 너무 고통스러웠어요. 죽고 싶다는 생각을 여러 번 했어요.”
난 대수롭지 않게 흘려들었다. ‘힘들었나보군….’ 넉 달이 지난 후 난 가슴을 쳤다. 그의 말을 흘려듣지 않았더라면….
내가 아는 이은주는 이지적인 분위기에 차분한 성격을 지닌 독특한 매력의 배우였다. 그는 자신의 표현대로 ‘행복한 마음으로’ 교회를 다닌 성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음악을 사랑했고 와인을 좋아했다. 다른 사람들이 범접하지 못할 정도의 맑은 품성의 소유자였다. 자신이 누리는 것의 소중함을 알고 있었고, 자신이 가진 것을 타인이 갖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영화 제작자를 꿈꿨던 그는 “어린아이들과 가난한 이들과 소외된 이웃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며 종종 자신의 장년시절을 그려보였다.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과 재즈 이야기면 시간 가는 줄 모르던 그
내가 아는 이은주는 시간이 날 때마다 소설을 꺼내 읽었다. 한동안 그는 하나의 이야기를 두 남녀 작가가 각각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의 시점에서 쓴 소설, ‘냉정과 열정 사이’에 푹 빠져 지냈다. 몇 번을 읽으면서 에쿠니 가오리가 묘사한 ‘피렌체의 두오모’를 동경했고, ‘인형의 다리’와 ‘회색 그림자’, ‘욕조’와 ‘햇살’ 얘기를 하면서 웃음을 지어보이기도 했다.
언젠가 재즈 이야기로 시작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로 몇 시간이 가는지도 모르게 대화를 이어간 일이 있었다. 그는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이나 ‘노르웨이의 숲’에 나오는 젊고 고독한 주인공들, 치유할 수 없는 상실감을 지닌 젊음들을 기억했다. “하루키적 사고와 감정의 세례에 익숙해져 있다”는 말도 했다. 하루키의 소설에 등장하는 재즈, 베니 굿맨의 ‘Bluebirds In the Moonlight’나 냇 킹 콜의 ‘Embraceable You’를 흥얼거리던 그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이은주는 나이에 비해 어른스러웠다. 99년 영화 ‘송어’로 데뷔한 그는, 이듬해 ‘오! 수정’에서 덜컥 주연을 맡았다. 기라성 같은 선배 배우들 틈에서도 어찌나 감정과 호흡을 잘 조절했던지 주위로부터 ‘능청스럽다’는 칭찬 아닌 칭찬을 들은 그였다. 대종상 신인여우상 수상까지 안겨준 ‘오! 수정’으로 “영화의 맛을 알았다”고 털어놓았던 그는 세 번째 출연작 ‘번지점프를 하다’를 통해 당당히 스타의 반열에 올랐다. ‘연애소설’과 ‘태극기 휘날리며’, ‘주홍글씨’에 이르기까지 그는 온몸으로 연기했다. 수정으로, 태희로, 가희로 대중 앞에 설 때마다 그는 “기력이 다할 만큼” 열심히 찍었다고 고백했다.
이은주가 웃음을 잃어버리기 시작한 건 2004년 초 TV 드라마 촬영이 시작된 뒤부터였다. 갑작스럽게 옥죄어오는 촬영 스케줄은 그의 생활 패턴에 붕괴를 가져왔다. 가까이에서 그를 지켜본 이들은 그가 지켜온 삶의 스타일이 무너지는 것을 감당하기 힘겨워했다고 전한다.
유작이 된 ‘주홍글씨’를 찍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욱 짙어졌다. 옷소매에 흘린 커피자국을 지울 시간조차 갖지 못할 정도로 빡빡한 일정이 이어졌다. 이때 불면증이 그를 엄습했고 이는 곧 우울증으로 전이됐다. 그로부터 1년도 되지 않아 이은주는 자신이 살던 집 드레스룸의 옷걸이에 기대 생을 마감했다.
자살 원인에 대한 많은 얘기가 오가지만 분명한 것 한 가지는 그가 심각한 우울증세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은주가 밤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주변에 “힘들다”는 말을 자주 했던 것으로 미뤄 짐작할 때 우울증을 겪은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남긴 글에서 그는 ‘살아도 사는 게 아니야… 혼자 버티고 이겨보려 했는데… 힘든 세상이야’ 등 자신의 한계상황을 여과 없이 노출했다. 정신과 전문의들의 말이다.
“우울증이 일단 중증으로 진행되면 상당수가 자살 충동을 느끼고 그중 적지 않은 수가 실제로 자살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어떤 면에서 자살은 우울증의 말기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교회 다니며 오랫동안 지켜본 문화일보 허민 기자의 ‘이은주를 그리며…’

이은주는 지난해 드라마 ‘불새’를 촬영하면서부터 힘들어하기 시작해 영화 ‘주홍글씨’ 때는 불면증을 호소할 정도로 건강이 악화돼 있었다.


이은주는 병사(病死)했다. 스물다섯의 인생 속에 배우로서 산 기간은 고작 6년. 한층 더 성숙한 연기의 맛과 멋을 꽃피울 나이에 요절했다. 이제 그와 함께 늙어가지 못한다는 사실, 박제된 영화 속에서만 그를 바라볼 수 있다는 사실이 눈시울을 뜨겁게 만든다.
하지만 분명한 건 그가 자살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우울증이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라는 점이다.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에서도 주인공 와타나베는 우울증에 걸린 여인 나오코의 자살을 막지 못했다. 우울증이라는 정신의학적 측면을 떼어놓고 보면 죽음의 비밀은 풀리지 않는다. 호사가들이 유명배우의 자살 배경을 알아내는 데 모든 정력을 쏟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부질없는 상상력만 키울 뿐이다.
우울증은 특수한 누구만의 것이 아니다. 일생 동안 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나 된다는 통계도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세기에 인류를 괴롭히는 10대 질병 중 하나로 우울증을 꼽았다. 미국 보건당국은 오는 2020년엔 전 세계에서 우울증을 앓는 환자수가 심장병 다음으로 많을 것이라는 보고를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울증이 마음의 병이나 의지박약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우울증은 뇌질환이다. 아무리 살려고 노력해도 뇌가 외면하면 그만이라는 뜻이다. 문제는 우울증을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우리 사회의 풍토다. 이런 상황에선 안타까운 희생이 늘 수밖에 없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우울증으로 치료받아야 할 사람 가운데 겨우 10%만이 병원을 찾는다고 한다. 적기에 치료하면 완치할 수 있는 병인데도…. 이은주의 죽음을 접한 뒤 그의 변화를 감지했던 주변 사람들이 ‘내 탓’이라며 가슴을 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의 죽음은 우리로 하여금 내 주위를 더욱 따스한 시선으로 돌아보도록 하고 있다. 나와 나의 가족, 나의 친구와 나의 이웃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라고 호소하고 있다. 순수한 영혼들이 비운의 선택을 강요받지 않도록. 하루키가 전후 일본의 황금시대에 모든 것을 바치듯 죽어간 나오코를 위해 ‘노르웨이의 숲’을 펴냈듯, 우리도 한국영화의 전성시대에 불꽃같이 자신을 태운 이은주를 위한 레퀴엠을 써야 할 때다.
‘…그날 문득 접속한 사이트에서 당신의 기사를 접했습니다. 지독한 뉴스였어요. 믿고 싶지 않았지만, 당신은 이제, 영원한 스물다섯이 됐군요.…’(한 인터넷 카페에 올린 어느 네티즌의 연서(戀書) 중)
이 세상에서 잊혀지고 소멸하더라도, 그곳에서는 행복하길.

  • 추천 0
  • 댓글 0
  • 목차
  • 공유
댓글 0
닫기